[YTN 박병한 기자의 1/14, 2022 기사를 참고함]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인상, 코로나 사태 이전과 같은 수치인 1.25%가 되었다. 코로나 팬데믹 선언 때 기준금리를 0.5%까지 내렸다가 이제는 1.25%까지 올라왔는데, 그 공포의 시기에 영끌해서 투자해서 엄청난 레버리지 효과를 누렸던 사람들, 그 야수의 심장과도 같은 용기가 정말 대단했다. 그리고 이제는 점점 코로나가 우리들의 일상에 익숙해진 감기와도 같은 가벼운 바이러스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 한편으로는 그동안 봉쇄하고 규제했던 다양한 활동을 이제는 완화하며 소비와 생산이 활성화되고 경기가 회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동안 많은 지원금과 새롭게 시작된 청년기본소득, 돈을 많이 풀고 있기에 어쩌면 경기가 잘 회복되지 못하더라도 금리의 인상은 필연적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그럼에도 거리두기를 꼭 해야하는건가 싶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어쨌거나 세계 10위의 경제 대국이라 할지라도 원화가 가치를 더 잃기 전에 어느정도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무리하게 자신 능력 이상의 대출을 끌어모은 사람들에게 '사형선고'를 내렸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줄줄이 다른 은행들도 금리를 인상한다. 예적금 이율이 높아지기도 하지만 동시에 대출 이자도 높아지기에 대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겐 부담이 가중된다. 1억원을 은행에서 빌렸을 때 각 은행별 10년 만기 기준으로 월별 얼마씩 갚아야 하는지 검색해보고 조금 투박하지만 직접 엑셀에 입력해보면서 표를 만들어서 첨부해본다. 물론 1억만 대출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다, 이것이 몇 억, 또는 몇십 억으로 늘어날 때 매 월마다 부담해야 하는 상환금은 훨씬 커질 것이다. 금리라는 것에 대해서 난 아직 아는 것이 많지 않다. 그래서 앞으로도 공부가 많이 필요하다. 금리 인상을 통해 내 투자 방향에 생긴 변화를 몇 개 끄적여볼까 한다.
1. 지난 몇 주간 나는 저금리 시절에 팔았던 미국의 자산주와 필수소비재주를 다시 사 모으기 시작했다.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금리와 비슷한 행보를 보이며, 미국 또한 회복되는 경기를 보아하니 연준은 올해 하반기, 빠르면 상반기에도 금리 인상을 발표할 수도 있다(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금리가 인상될 때 실적이 더 좋아지는 업종은 자산주(금융, 보험, 부동산 등)이며, 금리 인상과 상관없이 안정적인 실적을 내고 배당을 주는 기업은 필수소비재를 판매하는 기업이다. 이들의 주가 흐름이 어떠하든 금리인상으로 인한 공포심이 커져가는 요즘 시장 분위기를 역이용하며 중단기적으로 시세차익과 배당수익을 노려봐도 된다고 판단이 들어 주목하는 기업들을 캡처해서 첨부했다. 나는 그들을 조금씩 매집하는 중에 있다.
2. 나는 12월 종강과 동시에 졸업했다. 현재 취준생이다. 일을 시작하면 몇 달치 월급에 준하는 대출을 일으켜서 레버리지 효과를 노려볼까 했는데 올라가는 대출금리를 이길 수 있는 새로운 투자 방법을 모색해야겠다. 계산기 열심히 두들겨봤는데... 역시 돈 벌기란 쉽지 않구나 싶다.
●티스토리: justinys-corp.tistory.com
●인스타그램: http://www.instagram.com/ine_justiny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duddnr0729
댓글 영역